ADNA Lab 지원 필요성


  1.  
  2.  
  3.    2021년 7월 29일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 지원사업 간호학 분야 공청회 발표 자료에 따르면 발표기간까지 간호학 분야의 집단연구는 0건 (개인연구 100%)로, 간호학 분야 집단연구를 위한 지원이 절실하다.
  4.  
  5.    또한, 초고령화 시대에 지역사회에 거주하며 가정에서 방문 간호서비스를 받는 환자들에 대한 기초연구가 갈수록 중요해지는 시점이므로, 이를 계획 및 중재하고 평가하기 위한 근거를 마련하는 간호연구와 인력 개발이 시급하다.
  6.  
  7.    간호도 과학적 접근이 중요하다. 데이터 사이언스를 활용한 빅데이터 기반, 근거기반 서비스를 위해서는 기초연구가 필수적이다. 현재까지는 가정간호 등 지역사회에서 행해지는 간호에 대한 구체적 데이터 분석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데이터 기반 간호 기초연구에 대한 지원이 확대될 필요성이 있다.
  8.  
  9.    간호학계에서는 간호 선진국 미국에 한국이 간호과학적 측면에서 20여년 뒤쳐진 것으로 보고 있다. 국가 지원으로 체계적인 간호 기초연구와 인력 양성을 통해 이 간극을 메우고, 노령화 시대에 걸맞은 근거 기반 간호 제공을 위해 간호학 기초 연구실 ANDA Lab 지원이 필수적이다.